장례를 장례답게
#1. 따뜻하고 특별한 장례를 꿈꿉니다
< 영화 ‘코코’ 中 >
For even if I’m far away, I hold you in my heart.
Remember me, Though I have to travel far.
이 노래를 통해 할머니 코코는 아버지인 헥터의 기억을 되찾게 되고, 다시 헥터의 사진이 재단에 올라감으로써 가족들에게 영원히 기억되는 존재가 됩니다. 헥터는 영원히 가족들의 기억 속에서 살아가게 된 거죠.
우리 모두의 삶은 아름답게 기억되고 회자될 가치가 있습니다.
모든 삶이 그렇습니다. 언젠가 우리가 이 세상을 떠날 때, 우리를 사랑했던 주위 사람들이 우리를 기억해 주었으면 합니다. 떠나간 이를 잊어버리려, 지워버리려 노력하기보다는 그들을 기억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나누길 바랍니다. 이것이 우리가 생각하는 장례의 본질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따뜻하고 특별한 장례를 꿈꿉니다.
우리 모두는 나의 슬픔이 얼마 짜리 서비스의 구매-이용 과정으로 차갑게만 이해되길 원하지 않습니다. 대신 고객을 만난 처음부터 끝까지 따뜻함을 담아 사랑하는 사람을 깊이 애도하도록 돕는 데 집중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 모두는 사랑하는 이의 마지막이 형식적이기 보다는 의미 있는 마침표이길 바랍니다. 고유한 이야기가 담긴 장례를 통해 떠난 이의 삶을 깊이 추억하고 추모하도록 돕는 데 집중할 것입니다.
장례는 이처럼 숭고하기에 더욱 투명하고 정직해야 합니다.
불합리한, 불투명한 상술로 얼룩져서는 안 됩니다. 깜깜이 장례 비용을 1원까지 투명하게 볼 수 있는 게 당연해야 하고, 경황이 없어도 꼭 필요한 것만 합리적인 서비스를 제안하는 게 당연해야 합니다.
우리는 장례를 장례답게 만드는, 고이장례연구소입니다.
#2. 누군가의 삶에 깊은 영향을 줍니다
5,000만 명 x ∞
2024년의 세상은 AI와 그로 인해 변화될 미래상에 대한 이야기로 가득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파도를 타고 혁신을 만들어 내는 것은 세상에 큰 임팩트를 낼 것이 자명합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AI로 관심이 많이 이동해버린 세상에서, 우리는 기술로 대체되지 않는 더욱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바로 죽음과 그 일을 계기로 일어나는 전후의 변화입니다. 우리 모두는 결국 죽습니다. 그리고 대개 사랑하는 이의 죽음은 한 사람의 인생에 비가역적인 변화를 낳습니다. 그리고 장례를 장례답게 만드는, 좋은 죽음을 고민하고 연구하는 우리가 세상에 만들어 낼 임팩트는 5,000만 명(도달 범위) x ∞ (임팩트의 크기)일지도 모릅니다. 누군가의 삶에 깊은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